경기뉴스광장 최옥분 기자 |경기도와 한국도자재단이 개최한 ‘경기도자비엔날레’가 27만8000여 명의 관객을 기록하며, 45일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한 경기도자비엔날레는 국내 유일 도자예술 부문 비엔날레(격년제 국제미술행사)로 ‘투게더_몽테뉴의 고양이’를 주제로 전 세계 73개국 15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해 780점의 도자예술 작품을 선보였다.
현대사회의 사회적 갈등과 불안 속 ‘협력’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탐구하며 경기도자미술관(이천),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여주), 경기도자박물관(광주)을 중심으로 △전시행사 △학술·워크숍 △부대행사 △협력행사 등으로 운영됐다.
문화를 향유하려는 가족단위 관람객, 예술대학 학생들, 문화예술 전문가들의 자발적인 관람이 주를 이루며 도자예술 경험 및 가치를 확대했다는 분석이다. 도내 문화기관∙시설∙단체들이 연대해 도자 및 공예 관련 문화콘텐츠를 도민에게 제공하는 ‘찾아가는 비엔날레-느슨한 연대’에 3만5000여 명이 참여해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적 문화 격차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전시 측면에서 현대의 복잡한 이슈인 인간소외, 생태계 파괴, 난민, 젠더 이슈 등을 도자라는 매체로 재조명한 수준 높은 전시였다는 평가를 이끌어 냈으며, 주제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전시작가의 워크숍 및 아티스트 토크 등을 함께 진행했다.
또한, 지난 9월28일‘도예전공 대학생의 날’특별행사를 개최하는 등 도예가에 대한 꿈을 키우는 학생들에게 국제적 교육의 장을 마련해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했다.
대중 접점의 강점인 도자체험 측면에서는 흙을 직접 만지고 창작할 수 있는 ‘키즈비엔날레’부터 청년작가가 운영하는 ‘공예포차’등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비엔날레 기간 다양한 ‘도민 참여형’문화행사를 마련한 점도 올해 행사의 차별점이다. ‘당신의 뮤지엄 콘서트’를 통해 도민이 주체가 되는 문화예술의 장을 만들었다. 이 행사에는 아마추어부터 전문 예술인에 이르는 53팀, 총 540여 명이 참여해 다양한 공연을 펼쳤다.
비엔날레 개최 이후 처음으로 추진한 ‘찾아가는 비엔날레-느슨한 연대’행사를 통해 행사장이 위치한 이천, 여주, 광주 지역 외에도 경기도 27개 시군의 문화거점 시설 102곳과 협력해 도민들이 경기도 전역에서 도자예술을 만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설봉문화제, 오곡나루축제, 경기도민 문화의 한마당 등 지역 축제와의 협력행사를 통해 35만명이 경기도자비엔날레를 경험하며 도자예술과 관광산업의 융합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