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경기문화재단이 7월1일 자로 단행한 보직 인사는 '정책실 기능 재편, 홍보마케팅 강화, 박물관·미술관 운영체계 정비'라는 세 갈래 개혁으로 요약된다.
재단은 전문성과 책임성을 겸비한 인력 재배치를 통해 변화하는 문화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도민 체감형 정책 실행 기반을 공고히 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정책 콘트롤타워다. 정책실장에 김종길 전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장이, 안전관리실장에 한창규 전 안전관리실 차장이 각각 승진·보임돼 정책 수립부터 현장 안전까지 일관된 관리체계가 구축됐다. 재단 홍보·마케팅 부문 역시 기능이 보강돼 향후 전략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뮤지엄 통합운영 체계도 대폭 손질됐다. 경기역사문화유산원장에는 조준호 전 실학박물관 학예연구팀장이,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장에는 허윤형 전 안전관리실장이 임명됐다. 산하 기관 팀장진 재배치도 단행돼 △경기역사문화유산원 노현균 조사연구팀장 △경기도미술관 안세웅 기획운영팀장·박상애 학예연구팀장 △백남준아트센터 윤동현 기획운영팀장·구정화 학예연구팀장 △실학박물관 임은옥 기획운영팀장·김태완 학예연구팀장이 각각 현장을 이끈다.
인력 풀도 두텁게 다졌다. 신규 직원 4명이 기관 및 예술본부에 배치됐고, 3급 3명·4급 7명·5급 8명이 승진했다. 운영직 15명은 승급하며 현장 대응력을 강화했다.
재단 관계자는 "문화행정과 학예 현장의 균형 잡힌 재정비를 통해 전문성과 실행력을 동시에 확보했다"면서 "각 부문이 시너지를 내 도민이 체감하는 문화정책을 실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민선 8기 경기도정이 강조해 온 '도민 중심 문화행정' 기조와 맞물린다. 정책실의 기획·분석 능력, 홍보 조직의 파급력, 뮤지엄 현장의 기획·운영 역량이 유기적으로 결합할 경우 재단이 추진하는 문화유산 보존·전시, 지역예술 지원, 생활문화 확산 사업 전반에 추진동력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재단 관계자는 "조직 재정비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새 보직자들이 전문성을 발휘해 현장에서 바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가동하고, 도민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